● 인피드 광고 코드1
본문 바로가기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조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으시면 됩니다.

가전톡톡 2020. 10. 28.
반응형

요즘 제가 정부 지원정책에 대해서 계속해서 올리고 있는데

알면 알수록 모르면 손해라는 생각이 드네요.

2주 전에 제가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는 다른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입니다. 같은 듯이 다른 거니

착각하지 마시고 꼼꼼하게 읽어보시길 바라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저금리로 전세금 대출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입니다.

오늘은 조건, 서류, 가심사, 은행 연봉까지 알아봤고

80%~100% 대출받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봤습니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대출 이란?

대한민국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의 전, 월세

보증금을 저금리로 대출해주는 정책이며

월세의 부담을 줄이게 대출을 받아 전세를

얻어 월세 지출을 없애는 정부 지원 정책입니다.

취업하신 날짜와 무관하게 소기업, 소상공인 지원,

중소기업, 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이라면

1억 원까지 1.2%의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 대상은?

만 34세 이하로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병역의무를 마치신 분들은 만 39세 이하까지 가능하고요.

맞벌이 부부의 경우 부부합산 소득 5,000만 원 이하일 때이며

솔로여도, 부부여도, 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이면 됩니다.

대출 신청은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 또는 예비 세대주여야 하며

신청일 현재 세대주 포함 전 세대원이 무주택자 여야 합니다.

신청일 기준으로 중소, 중견기업에 재직 중 이어야 하며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야 합니다.

대출한도는?

개인별로 식사 후 한도가 책정되는데

임차보증금의 80% 이내에서 받을 수 있는데

최대 1억 원을 초과하지 못합니다.

1억짜리 전세인 경우 최대 8,0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1억 대출 시 한 달에 내야 하는 이자가 10만 원 정도이니

정말 이건 꿀입니다.

 

 

대출서류

서류 준비는 회사에서 받는 것과 본인이 준비해야 하는 것

두 종류입니다.

본인이 준비해야 하는 서류

신분증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 내역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주민등록등본 초본

회사에서 받아야 하는 서류

사업자 등록증, 소속 기업 확인한 표준사업 분류 표에 따른 주업종 코드 확인서, 재직증명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대출 순서

순서는 위에 그림대로 하시면 되는데

그보다 먼저 가까운 은행에 가셔서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하시고 가능하면 대출한도

또한 알아보시면 좋은데 은행에 가실 때

서류를 미리 준비해 가시면 확실한 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이 가능한 가심사 확정이 되면 집을 구하신 뒤

계약서 작성 후 5%의 계약금을 내신 뒤 영수증을

반듯이 받으셔야 합니다.

 

 

여기서 잠깐!

제일 먼저 해야 하는 일이 은행 방문이 아니고

재직 중인 회사가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부터 하신 뒤에 은행을 가셔야 합니다.

알아보는 방법은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접속 후

재직 중인 회사의 법인 법호 또는 사업자 번호를 넣고

확인되면 대출 신청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또 하나 만약 여기서 해당이 안 된다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으시면 됩니다.

대출 신청 후 확정이 되면 80%를 은행에서

집주인에게 직접 지불하고 남은 금액은 본인이

지불하시면 됩니다.

100% 대출받았을 때는 은행에서 집주인에게 95%를

지불하고 계약 시 본인이 냈던 5%의 금액은 은행이

대출받는 본인에게 넣어줍니다.

반응형

댓글